원래 추석음식 대표과일로 사과를 주로 떠올립니다. 맛도 맛이지만, 명절음식 특성 상 기름진 식단으로 몸의 더부룩함을 내려줄 것 같은 맛이 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사과를 찾기보단 바나나를 선호하는 문화가 심심치 않습니다. 왜 그런지 알아보겠습니다.

추석음식 바나나가 사과보다 선호되는 이유?
어느 시장을 가든 사과 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과가 필 시기에 서리가 내린 냉해와 생각보다 길었던 장마, 장마가 끝나고 엄청난 폭염으로 생산량이 급락했다는게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탄져병까지 번져 수확을 완전히 포기한 농가도 있을 지경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소비가에도 영향을 미쳐 일명 ‘금 사과’를 포기하고 바나나로 시선을 돌리게 된 이유가 되었습니다.
바나나의 효능
국가표준식품성분표에 따르면 바나나 100g에는 장 건강에 좋은 식이섬유가 2.2kg 들어 있습니다. 사과에는 2g이 들어있는데 이보다 더 많이 들어있습니다. 바나나에는 칼륨이 많아 짠 음식으로 이루어진 명절음식으로 몸에 쌓인 나트륨을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어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는 좋습니다.
바나나 섭취 시 주의할 점
반대로 신장(콩팥)에 문제가 있는 사람일 경우 섭취를 제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콩팥병과 같은 지병이 있는 경우 칼륨이 쌓이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혈압에는 좋으나 신장에는 효능을 보기 어렵다는 점은 꼭 참고하셔야 합니다.
덜 익은 바나나와 잘 익은 바나나 차이점은?

반점이 생긴 잘 익은 바나나를 주로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습니다. 당분이 늘어나 맛이 더욱 짙다는 점 때문인데요. 바나나를 섭취하면서 바나나의 제대로된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함께 단백질과, 요구르트 등 다른 요리에 바나나를 함께 섭취하거나 바나나만 섭취할 경우 반개 정도로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당 지수를 살펴보면 녹색 바나나는 30이고 노란 바나나는 58로 약 2배이상 차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