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가 처지고 노화가 오는 것은 자연의 아치입니다. 하지만 구강호흡을 막지 않는다면 피부를 처지게 하고 얼굴형을 망가뜨리는 결과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강호흡의 문제점과 해결방법은 무엇일까요?

구강호흡 문제점
가을철,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사람은 코로 숨쉬기가 힘들게 됩니다. 그로인해 코가 막혀 입으로 호흡하는 습관이 형성됩니다. 구강호흡은 피부근육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호흡에 사용되는 근육이 달라지면서 얼굴 모양에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구강호흡을 하게 되면 코의 위쪽에 위치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근육이 이용되지 않게되면 코 위로 형성되어 있는 눈가와 뺨이 처지게 되고 아랫입술로이 주동근으로 호흡하면서 입술 양끝이 처지는 현상이 가속화됩니다.
구강호흡 해결방법
구강호흡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선 막힌 코를 뚫어주는 것이 먼저입니다. 병원을 통해 적절한 치료방법을 진단받고 치료받는 것이 먼저이며, 평상시엔 식염수로 코를 자주 세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코로 당장은 숨쉬기가 어려운 환경이라면 입으로 크게 내쉬는 호흡을 줄이기 위해 과격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을 자주 마시며 호흡기를 건조하지 않게 만들어주고 나아가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체온에 맞게 조절해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구강호흡 해결방법 – 올바른 코세척 방법
식염수 만들기
-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물을 끓인 후 서서히 식혀줍니다.
- 식힌 물 1L에 소금 1티스푼을 넣어 섞습니다.
- 코 세척기를 약국에서 구매합니다.
- 세척기에 식염수를 채우고 한 쪽씩 콧구멍에 식염수 세척기 끝을 넣어줍니다.
- 식염수를 넣을 땐, 입을 열어 숨을 쉬며 반대편 콧구멍으로 전이되지 않게 주의합니다.
하루에 1~2번 코 세척을 하면 비염이나 알레르기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을 줍니다.
뮤잉운동으로 구강호흡 예방하기
- 혀의 뒷 부분부터 입천장에 닿게 합니다.
- 알파벳 ‘N’ 발음으로 침을 삼키기 직전 감각을 유지하여 혀를 입천장에 고정시킵니다.
- 반드시 코로 숨쉬어야 합니다. 구강 호흡을 하려고 하면 운동 자세가 무너집니다.
- 수면 중에도 해주면 좋지만, 습관을 만들기 위해 대화나 식사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은 항상 위의 모양을 유지해주는게 습관을 만들기 좋습니다.